The Proposal for the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Hwaseong Wetlands; 화성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방향 제안

In 2020, the EAAFP Secretariat and Hwaseong City signed an MoU [article] and proceeded the conservation project for a year. One of its activities is the 2020 Hwaseong Wetlands International Symposium [article] where 300 concurrent users and 2,400 views were recorded. To make a guideline of management of Hwaseong Wetlands at the symposium, stakeholders were invited and represented their own groups, e.g. citizens, agricultural and fishing industries,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searchers.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 of the symposium, the Secretariat organized two of the workshops to produce a guideline of the management plan of the Hwaseong Wetlands in 2021. Participants of the workshops were the department in charge, of Hwaseong City; the Hwaseong Eco Foundation, who can take the leading role of the wetland management committee in the future; KFEM Hwaseong and KFEM, who can explain the local stakeholders’ perspectives; Birds Korea, who is the main researcher of the 2020 ecological survey on the Hwaseong Wetlands; and the Secretariat, the main coordinator.

At the workshops, the participants mainly discussed the boundaries of the Hwaseong Wetlands and its adjacent areas related to the protected area, and Ramsar Site nomination; and arrangement of the management committee. The participants also discussed the importance of wetland management plans, and its connectivity with the 2021 EAAFP Secretariat’s project.

Finally, ‘The Proposal for the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Hwaseong Wetlands’ was produced in May 2021 [The proposal]. Its writers are Ms. Yeonah Ku, Ms. Heajeong Park, and Ms. Hyeseon Do from EAAFP Secretariat and KFEM Hwaseong, members of the Symposium Taskforce. External manuscripts of Dr. Donguk Han, the Director of the PGA Wetland Ecology Research Institute, were also included. The suggestion presents the scope of management, the direction of wetland management, partnership establishment, and setting of goals and implementations.

Understanding the related stakeholders is important to manage the Hwaseong Wetlands, controlled by several authorities, where various stakeholders’ benefits and interests are intertwined. Furthermore, the proposal book indicates the related data of the wetlands which is scattered because it is under several authorities.

It also proposes to form a consultative body when establishing a partnership, to have an implementing organization accordingly, and to entrust it to civil groups, which have not been attempted in Ro Korea.

Sunrise at the Hwaseong Wetlands © Hwaseong City

The management methods that consider the local stakeholders

In this section, the stakeholders of the Hwaseong Wetlands, which were focused at the internal study of the Secretariat will be explained.

On the proposal, the stakeholders were indicated as five groups referring to the Ramsar Convention and considering the 9 major groups of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 The general public are primary (fishermen, farmers), secondary (factory laborers), and tertiary industrial workers (tourism workers), visitors, and tourists. (2) Governments at all levels ar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Hwaseong City of Gyeonggi Province, Suwon City of Gyeonggi Province, Gyeonggi Province, Seocheon County of Chungcheonnam Province, and Yeonsu District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3) International and regional organizations are EAAFP, ICLEI- International 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ility, KFEM Hwaseong, Birds Korea, etc. (4) The business sectors are Kia, Hyundai, Namyang, and Jungwoo Easytec, (5) while the academic institutes conducted surveys, and studies, such a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Korean Rural Research Institute, Waterbirds Network Korea, Birds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with various stakeholders, the proposal urged that the Hwaseong Wetlands need a wetland management committee to make decisions not only for the protected area but also the whole Hwaseong Wetlands area.

Structure of the suggested management committee

Source:
Ku, Y.A., H.J. Park, H.S. Do, D. Han. 2021. The Proposal for the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Hwaseong Wetlands. The EAAFP Secretariat. (Korean)

Reference:
– Ramsar Convention http://ramsar.org/
– UN SDGs https://sdgs.un.org/
Moores, N., Y.A. Ku, H.J. Park, M.N. Park. 2021. Wise Use of the Hwaseong Wetlands Flyway Network Site: 2020 Final Report.

Written by Ms. Yeonah Ku, Local Project Coordinator of the Secretariat


[Korean version]

화성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방향 제안

2020년, EAAFP 사무국은 화성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EAAFP 네트워크 서식지인 화성습지의  보전사업을 추진하였다. 그 활동중 하나로서, EAAFP 사무국은 2020 화성습지 국제심포지엄을 추진하였는데 [관련기사], 약 300명이 최대 동시 접속하고, 전시간대에 2400여명이 참여한 규모였다. 심포지엄에서는 화성습지의 관리 계획 지침을 작성하기 위하여, 시민, 농민, 어민, 농어촌공사, 해양수산부, 환경부, 연구자 등이 참여하여, 해당 이해당사자 그룹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 심포지엄의 논의를 바탕으로, EAAFP 사무국에서는 화성시와 협의하여 관리방향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위하여 2차례의 워크숍을 추진하였다. 워크숍에는, 화성시 담당부서, 화성습지의 관리위원회 조직 시 큰 주축이 될 수 있는 화성시환경재단, 시민들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화성환경운동연합 및 환경운동연합 중앙사무처, 2020년 조사를 추진하였던 새와생명의터도 참여하였다.

워크숍에서는 화성습지의 여러 지점 중 보호지역으로 추진할 지역 및 람사르 습지 등재 추진지역 등 습지 관리 지역, 관리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으며, 그 외 관리계획의 중요성 및 2021년 사업과의 연계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화성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방향 제안’ 이 작성되었다. [제안서 보기] 제안서의 저자는 EAAFP사무국과 화성환경운동연합의 구연아, 박혜정, 도혜선이며, 한동욱 PGA습지생태연구소 장의 외부원고도 포함되어 있다. 이 제안서는 관리의 범위, 습지관리방향, 파트너십 구축 및 목표설정과 이행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화성습지는 여러 당국의 관할 속에 있고,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서, 관리를 위해서는 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여러 당국의 관할 속에서 통합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만큼, 관련 자료들도 산재해 있으므로, 그 자료들의 활용을 위하여, 자료를 찾을 수 있는 곳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파트너십 구축 시 협의체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이행 조직을 갖추도록 제시하며,  이행조직은 한국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시민단체가 맡아서 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사진. 화성습지의 일출 © 화성시

[화성습지의 지역민을 고려한 관리방안]

이번 문단에서는, EAAFP 사무국 내부적으로 공유하였던 화성습지의 지역 이해당사자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제안서에서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의 9개 주요 그룹과 람사르협약을 참조하여 이해당사자를 5개 그룹으로 나눴다. (1) 일반시민으로는 1차 산업 종사자(어민, 농민 등), 2차 산업종사자(공장 노동자), 3차 산업종사자(관광업 종사자 등) 및 관광객, 방문객이 있다. (2) 정부기관으로는 해양수산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충청남도 서천군, 인천광역시 연수구 등이 있고, (3) 국제기구 및 지역기관으로 EAAFP,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이클레이’, 화성환경운동연합, 새와생명의터 등이 있다. (4) 기업은 기아자동차, 현재자동차, 남양연구소, (주) 정우이지텍이 있고, (5) 학계에서는 경기연구원, 농어촌연구원, 물새네트워크, 새와생명의터, 국립생물자원관 등에서 화성습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러한 여러당국과 이해관계 속에서 화성습지는, 습지보호지역 뿐 아니라 화성습지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관리위원회를 설립하여 습지 전반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권고하였다.

그림. 제안된 관리위원회의 구조

원문 :
구연아, 박혜정, 도혜선, 한동욱. 2021. 화성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방향 제안. (한국어)

문헌:
– Ramsar Convention http://ramsar.org/
– UN SDGs https://sdgs.un.org/
Moores, N., 구연아, 박혜정, 박미나. 2021. 화성습지의 현명한 이용: 2020 최종보고서. (한국어)

EAAFP 사무국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구연아

Post a comment